최근 건강 문해력 논란과 공공기관의 건강 정보 유통 규제

최근 건강 문해력이라는 용어가 의료계와 공공기관 중심으로 강조되면서, 그 본래 의미가 변질되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건강 문해력은 원래 환자들의 이해를 돕고 의료 소통을 개선하기 위한 개념이었으나, 최근에는 정보 통제와 검열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특히 국립암센터가 추진 중인 국가 건강 문해력 정책은 자율성을 침해하고 유튜브나 SNS 상의 건강 정보를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건강 문해력
최근 건강 문해력이란 개념이 다시 떠오르고 있다


건강 문해력 개념 정의와 변질

건강 문해력 변질
최근 건강 문해력이 변질되고 있다


건강 문해력(Health Literacy)은 1974년 저널리스트 스카 사이몬드(Scar Simon)에 의해 처음 사용된 개념으로, 건강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이해하고, 판단하고, 활용하여 개인의 건강관리 및 건강 증진을 위해 필요한 능력을 말한다. 


쉽게 말해, 건강 문해력은 단순히 건강 지식을 아는 것을 넘어, 건강 정보에 접근하고 이해하며, 이를 바탕으로 건강과 관련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다. 


따라서 당시 문맹이 많은 상황에서 건강 정보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으로 글을 읽을 줄 아는 능력, 통계 자료 등을 올바르게 해석하고 속지 않기 위한 수리능력, 의료진과 원활하게 소통하여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전달하고 이해하는 소통 능력, 혈당 측정기, 혈압계 등 가정용 의료 기기를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90년대 미국 의사협회(AMA)와 미국 암학회(American Cancer Society)는 의사들에게 환자들이 알아듣기 쉬운 용어를 사용할 것을 권고 및 환자들과의 소통 능력 향상을 강조하는 의미로 이러한 건강 문해력 개념을 사용했다. 이는 의사들이 문맹이나 정보력이 약한 노인들도 잘 보살펴 주고 도와주라는 긍정적이고 어떻게 보면 아름다운 개념이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특히 코로나 백신 개발사 파이자(Pfizer)와 같은 사기업들이 건강 문해력을 프로모션하며 자금을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그 의미가 퇴색되기 시작했다. 


심지어 이제는 건강 문해력이 무지한 환자들이 건강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이 너무 없어 음모론?에 빠진다고 질책하며, “너희들이 무식하니까 우리가 정보를 미리 통제하고 검열해 줄게”와 같은 뉘앙스로 사용되고 있다.


즉, 제약 회사 위주의 현대 의학에 반대되는 정보들을 검열하고, 현대 의학의 내용을 이해 못 하는 사람들을 탓하는 의미로 변질되었다는 말이다. 결과적으로 식단이나 영양소 관련 정보는 비과학적, 충분한 연구 부족, 전문가 집단의 인정 못 받음 등으로 치부 받고 있다. 



국립암센터의 전근대적인 국가 건강 문해력 정책


지난 6월 6일자 한겨레 기사에 따르면, 국립암센터는 국가 암 정보 센터를 신설하여 국가 건강 문해력 정책을 추진하며 건강 정보 유통을 규제하는 구체적인 규범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정책은 건강 정보 공급자 집단의 정보 생산 체계를 구체적으로 다듬겠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가장 큰 우려는 ‘규제하고 규범이 필요하다’는 부분이다. 이는 유튜브나 SNS를 검열한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특정 단체의 기준에 따라 개인 미디어를 통제하려는 전근대적이고 위험한 발상이다. 최근 들어 검열이라는 단어가 자주 나와 걱정이다.


우려되는 점은 이러한 정책이 특정 집단의 입맛에 맞는 정보만 유통 가능하도록 하고 다른 의견을 억압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영양 의학 분야는 아직 검증되지 않은 부분이 많고, 심지어 정치적 목적이나 이권 단체의 영향으로 가이드라인이 설정된 경우도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나 공공기관이 무엇이 옳고 그른지 정해 주는 것은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과학의 이름으로 강요되는 비과학적 정책 사례

파우치
최근 코로나19 청문회에서 답변중인 파우치 (이미지 출처- lailluminator)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의 정부 정책, 예를 들어 4~5인 집합 금지, 헬스장에서 빠른 비트 음악 금지 등 비과학적인 정책을 국민들한테 과학의 이름으로 강요 했던 사례가 있다. 이는 마치 백신 논란으로 유명한 파우치(Anthony Stephen Fauci) 박사가 “내가 곧 과학이다”(I represent science)라고 말하며 과학적 근거 없는 락다운(LOCKDOWN)을 강요했던 것과 유사하다. 


환자의 자율성 침해


국립암센터나 의사들이 하나의 기준을 잡아 이게 정답이라고 강요하는 것이 과연 옳을까? 환자 스스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너희들이 건강 문해력이 너무 떨어져 걱정이다’라는 식의 일종의 선민의식이 아닌, 환자에게 더 다가가 설명하고 소통하는 것이 의사의 역할이 아닐까?


그러나 이러한 정보 통제 정책이 실제로는 큰 실효성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늘 그래왔듯이 환자들은 자신의 몸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찾아볼 것이니 말이다. 


참고로 암 환자들은 유튜브나 SNS가 활성화되기 이전부터 자신의 질병 치료를 위해 다양한 정보를 검색해왔다. 의사들은 이러한 환자들의 정보 탐색 의지를 존중하고, 건강 문해력이 없다고 질책하기보다는 환자에게 더 다가가 소통하고 설명하는 자세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다양한 건강 정보의 공론화 및 토론


현재 저탄고지, 카니보어 다이어트 등 다양한 식단 요법에 대한 긍정적인 연구 논문들이 나오고 있으며, 이는 주류 의학계에서도 일부 인정하는 추세다. 이러한 부분은 연구 대 연구, 논문 대 논문으로 토론이 일어나야 할 부분이지, 정부 차원에서 규제할 대상이 아니다. 


대중의 비판적 사고가 필요한 시점


일부 대중은 국가에서 하는 것을 무조건 믿고 따르는 경향이 있다. 마치 영화 ‘효자동 이발사’에서 어떤 캐릭터가 “국가가 하는 일은 항상 옳지”라고 입버릇처럼 말하듯이 말이다. 하지만 국가가 항상 옳은 것만은 아니다.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의 말대로 AI 시대가 좀 더 심화되면 국가의 더 고도화되고 더 세련된 통제가 가능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대중은 스스로 ‘빨간 약’을 먹고 깨어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치며


국가 공공기관의 소위 건강 문해력 정책은 정보 통제 및 검열의 위험성을 내포하며, 이는 국민의 자율성과 정보 접근권을 침해할 수 있다. 환자들의 다양한 건강 정보 탐색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이에 대한 비난보다는 의료진의 소통과 이해 노력이 중요하다. 


논란이 많은 의학적 주제에 대해서는 열린 토론과 연구를 통해 해결해야 하며, 특정 집단의 기준을 강요하는 것은 비민주적이다. 이러한 정책 시도에 대해 깨어 있는 많은 대중들이 모니터링하면서 규제하고 탄압받는다는 느낌이 들 때 모두 한 목소리를 내고 여론을 만드는 것이 중요할 듯싶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