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와 학력에 상관없이 아이를 좋아하거나 육아의 경험이 있는 중장년층 여성들이 도전해 볼만한 일자리 2가지가 있다. 이는 정부에서 추진하는 일자리로, 하루 10만원 내외, 한 달에 약 200만 원 정도의 수입을 가져갈 수 있다. 크게 업무가 어려운 것도 아닌, 육아 경험이 있는 여성들이 경험을 살릴 수 있는 일인 만큼, 대부분 40~ 60대 여성들의 지원이 많다.
- 어지럼증 원인과 증상 및 뇌질환과의 연관성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과 내각제 개헌 논의, 그 배후의 진실
- 가장 흔한 치매,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 등의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방법
- 미국 대통령 취임식 초청의 진실
- 전국민 압류방지통장 법안 통과 및 새로운 생계비계좌 도입
●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사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사란, 각 가정에 파견되어 출산을 한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살피고, 산후관리를 돕는 일을 말한다.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사가 하는 일을 좀 더 살펴보면, 산모 건강관리, 신생아 건강관리 그리고 가사지원으로 나눌 수 있는데 주로 신생아 기저귀 교체나 목욕, 산모의 간단한 식사 준비와 산모와 신생아가 머무는 공간의 청소 및 의류와 침구세탁 정도가 주 업무라고 할 수 있다.
산모 건강관리 | 부종, 영양관리, 산후 위생, 체중관리 등 |
신생아 건강관리 | 목욕, 배꼽관리, 기저귀 교체, 용품소독 및 예방접종 관리 등 |
가사지원 | 산모 식사준비, 산모 및 신생아 주 생활공간 청소, 산모 및 신생아 의류 및 침구 세탁 등 |
업무 내용을 보면 육아 또는 집에서 어느 정도 살림을 해본 여성들이라면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는 일로, 하루 9시간(휴식시간 1시간 포함) 근무가 원칙이고, 보통 오전 9시~ 오후 6시까지 근무가 가장 많다.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사의 급여 수준
정부의 지원을 받는 일자리의 경우 법령에 의거해 서비스 가격이 책정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보통 아이가 몇 명인지에 따라 1일 132,800원부터 265,600원까지 책정된다. 예를 들어 1명의 아이를 돌볼 경우 서비스 가격의 75% 정도를 지급받아 1일 약 99,000원 정도를 받을 수 있는데 시급으로 치면 약 12,000원 정도하고 할 수 있다. 참고로 75% 중 나머지 25%는 제공기관의 관리비와 운영비로 사용된다.
구분 | 단태아 | 쌍태아(인력 1명) | 쌍태아(인력 2명) | 삼태아 이상(인력 2명) |
일반 | 132,800원 | 165,600원 | 232,400원 | 265,600원 |
인정제공인력(일반) | 126,000원 | 157,000원 | 220,000원 | 252,000원 |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방법
신생아 산모건강관리사로 활동하려면 먼저 교육을 수료한 뒤 서비스 제공기관에 직접 지원해야 한다.
교육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보다는 PC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인터넷 검색창에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라고 검색하면 홈페이지가 나오는데 상단의 ‘서비스기관검색’에서 ‘산모신생아 교육기관 검색’을 클릭해 들어가 지역별 교육기관을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업연도를 2023년으로 선택한 후 지역을 선택하고 조회를 클릭해보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기관이 모두 나온다.
※참고로 교육기관을 선택한 후, 이론 24시간과 실기 36시간의 교육을 수료하는데 교육비가 약 15~ 20만 원 정도 발생되며 요양보호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들은 교육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① 인터넷 검색창에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검색→ ② 홈페이지 상단의 서비스기관검색→ ③ 산모신생아 교육기관 검색→ ④ 사업연도를 2023년으로 선택한 후 지역을 선택하고 조회→ ⑤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기관 확인
● 아이돌보미 서비스
아이돌보미 서비스란, 생후 3개월 이상~ 만 12세 이하 아동을 1:1로 돌봐주는 일로, 부모의 맞벌이 등으로 양육 공백이 발생한 가정에 파견되어 돌봄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아이돌보미 서비스는 시간제 서비스, 영아종일제 서비스, 질병감염 아동지원 서비스, 기관연계 서비스 이렇게 4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이 중 대부분 시간제 서비스와 영아종일제 서비스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시간제 서비스는 아이의 부모가 귀가할 때까지 임시보육, 놀이 활동, 부모가 미리 준비한 식사나 간식 챙겨주기, 어린이 집 등·하원 보조, 아동과 관련된 세탁물 돌리기, 아동 놀이 공간 정리 등을 하게 되고, 영아종일제 서비스는 영아를 대상으로 기저귀 갈기, 목욕, 젖병소독, 이유식 먹이기 등 일을 하게 된다.
아이돌보미 서비스의 급여 수준
아이돌보미 활동수당은 시간당 기본 시급으로 정해져 있는데 예를 들어 2023년 기준으로 아동 1명을 돌본다면 시간당 기본 시급은 9,630원이지만 여기에 각종 수당이 추가된다. 형제자매, 즉 2명 이상의 아동을 함께 돌보는 경우 아동 수에 따라 추가수당이 지급되어 2명은 시간/14,400원, 3명은 시간/19,200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질병감염 아동 1명을 돌보는 경우 시간/12,520원, 기관연계 서비스로 근무할 때는 시간/16,850원의 시급을 받으실 수 있는데 여기에 월 소정근로시간 이상 근무하게 되면 4대 보험과 함께 주휴수당도 지급되고, 연 2회의 20만원의 명절 상여금과 섬·벽지 및 읍·면지역일 경우 교통비까지 지급된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아이돌보미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다.
아이돌보미 지원방법
아이돌보미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원서를 작성하고, 서류심사와 면접 심사를 거치신 후 선발이 되면 양성교육을 받고, 현장 실습까지 완료하면 되는데 특별한 자격 조건은 없지만 아무래도 아이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직업이니만큼, 아이를 좋아하는 사람이 지원하는 것이 좋을 듯싶다.
지원 방법은 간단한데 역시 스마트폰보다는 PC로 지원하는 것이 좋다. 먼저 인터넷 검색창에 ‘아이돌보미’를 검색해 홈페이지에 들어가 상단의 ‘지원 및 양성’을 클릭하면 하단에 ‘모집공고’가 보이는데 이것을 클릭, 그러면 로그인을 하라고 나오는데 회원가입을 하고 다시 처음 홈페이지로 이동한 다음, ‘모집공고’를 클릭해 지역을 선택한 후 조회를 하면 모집 중에 있는 모집공고를 볼 수 있다. 이중에서 선택한 다음, 내용에 따라 제출 서류를 준비해 지원하면 된다.
① 인터넷 검색창에 아이돌보미 검색→ ② 홈페이지 상단의 지원 및 양성 클릭→ ③ 하단의 모집공고 클릭→ ④ 로그인 후 다시 모집공고 클릭→ ⑤ 지역 선택 후 조회→ ⑥ 모집공고 선택 후 내용에 따라 제출 서류를 준비해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