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트렌즈와 컬러렌즈는 시력 보정과 미용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착용하고 있다. 그러나 장기간 착용할 경우 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들은 눈에 필요한 산소 공급을 방해하여 각막 신생혈관증을 비롯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심한 경우 실명까지 유발할 수 있다.

- 고지혈증 약 스타틴의 기억력 감퇴, 치매, 근육통 등 부작용에 대한 오해
- 커피 원두 가격 급등 원인과 대응 전략 및 카페 운영자를 위한 극복 방안
- 최신 연구결과, 당뇨 환자의 미량 영양소 결핍 해결방법 및 영양소 섭취 가이드
- 쿼드데믹, 독감 사망자 코로나19 초과, 공공장소 폐쇄 없는 이유와 면역력 높이는 방법
- 치즈는 건강에 좋을까? 마인드 식단과 최신 연구를 통해 살펴본 치즈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순간 눈동자에 필요한 산소는 바로 차단된다. 물론, 산소 투과력이 좋다고 광고하는 콘택트렌즈도 있지만 렌즈 착용 시 산소 투과력은 착용 전과 비교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시력보정을 위해 착용하는 콘택트렌즈일 경우라도 너무 오랜 시간 착용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 컬러렌즈 및 서클렌즈 착용 시 문제점

특히 여학생들이나 젊은 여성들이 미용을 위해 착용하는 컬러렌즈 및 서클렌즈의 경우 착용 시 거울에 비춰 보이는 자신의 눈동자는 크고 예쁘게 보일 수 있지만, 렌즈 자체가 검정색 또는 푸른색 등으로 염색되어있어 일반 시력보정용 콘택트렌즈보다 산소 투과성을 더 떨어뜨릴 수 있어 문제가 될 수 있다.
● 각막 신생혈관증

눈동자를 렌즈로 덮어 산소가 부족할 경우 눈동자의 각막은 외부로부터 산소를 전달받지 못해 숨을 쉴 수 없게 되다보니 일종의 보상작용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쉽게 말해, 혈관이 없는 눈동자 부분에서 산소가 부족하다보니 산소를 담은 혈관이 있는 흰자 쪽에서 눈동자 쪽으로 혈관이 모이게 된다는 말이다.
결과적으로 흰자 쪽 혈관들이 눈동자 주위에 모여들게 되면서 눈동자 테두리 부분에 혈관이 생기는데, 이것을 ‘각막 신생혈관증’이라고 한다. 문제는 눈동자 테두리 주변에 혈관만 생기는 것이 아닌, 혈관을 품은 흰자도 살짝 함께 들어오려는 경향성이 있어 눈동자가 실제로 작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로 신생혈관은 비정상적으로 생겨난 혈관이므로 혈관이 매우 약해 출혈이나 진물이 나오기도 쉬운데, 이로 인해 각막이 혼탁해지면서 시야에 이상이 생기거나 염증을 유발하기도하며 심하면 실명까지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각막 신생혈관증은 일단 한 번 생기면 쉽게 사라지지 않고, 치료도 쉽지 않아 예방과 조기 발견 및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
● 각막 신생혈관증 예방과 치료
시력보정용 콘택트렌즈든 컬러·서클렌즈든 각막의 산소 공급을 방해하기 때문에 가급적 최소한으로 착용하는 것이 각막 신생혈관증 예방에 좋으며 반드시 렌즈를 착용해야한다면 산소투과율이 높은 종류의 렌즈를 선택하고, 하루 착용시간 6~8시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그리고 렌즈와 안경을 번갈아 착용하여 렌즈 착용시간을 줄이는 것이 좋으며, 눈을 자주 깜박여주고, 잠시 감고 쉬어주고, 인공눈물을 점안하는 등 최대한 눈이 건조하거나 피로하지 않게 관리하는 것이 좋다.
또한 렌즈의 세척 및 보관을 청결하게 철저히 관리하고, 취침 시에는 반드시 렌즈를 빼서 전용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렌즈 착용자인 경우 눈동자 테두리 주변에 실핏줄이 뚜렷하거나 늘어나지는 않는지를 자주 확인하며, 정기적으로 안과를 방문해 검진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막 신생혈관증 치료는 아직까지 뾰족한 치료법은 없는 상태로, 치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현재 약물과 병행한 고주파 또는 레이저를 이용해 치료하고 있다.
● 각막 신생혈관증 확인 및 개선방법
실례로 콘택트렌즈, 컬러·서클렌즈를 아주 장기간 착용한 사람들이 렌즈를 빼고 거울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경우 검은 눈동자 테두리 부분이 약간 붉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눈동자가 더 작아 보일 수 있다는 말이다. 이렇게 되면 더 작아 보이는 눈동자를 감추기 위해 또다시 컬러·서클렌즈를 착용하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사실 컬러렌즈 및 서클렌즈는 매일 착용하는 렌즈가 아닌, 이벤트성 렌즈로, 한 달에 하루 이틀쯤 멋지고 색다르게 보이고 싶은 날에 착용하는 렌즈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매일 착용하는 경우 오히려 자신이 가지고 있던 원래 눈동자를 더 작게 만들 수 있다.
만약 컬러렌즈 및 서클렌즈를 자주 착용해 눈동자 테두리 주변이 붉어지는 각막 신생혈관증이 생겼다면, 렌즈 착용을 5~6개월 정도 금하는 것이 좋으며 이후 컬러·서클렌즈 착용 횟수를 줄이는 것이 좋다.
이렇게 되면 다시 눈동자에 산소가 공급되고, 산소가 공급되면 흰자 쪽에서 지원했던 혈관이 필요 없어지게 되므로 서서히 혈관이 흰자 쪽으로 물러나면서 각막 신생혈관증은 어느 정도 개선될 수 있다.
하지만 각막 신생혈관증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눈동자 테두리 주변에 생긴 혈관에서 혈액은 빠져나가 붉게 보이지는 않지만, 이러한 혈관들은 유령 혈관(ghost vessel)으로 남게 된다. 즉, 한번 자라난 혈관은 피가 빠져나가도 사라지지 않고 그 자리에 남아있다는 말이다.
결론은 장기간 컬러렌즈 및 서클렌즈 착용을 피한다면 눈동자 테두지 주변의 붉은 기운 정도는 많이 개선될 수 있지만, 눈동자 주위가 희끗희끗해진다든지 또는 눈동자와 흰자의 경계부분이 무너져 모호해지는 부분은 개선되지 않을 수 있으며 치료 또한 아직까지 뾰족한 수가 없으므로 가급적 매일 컬러·서클렌즈를 착용하는 습관을 버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포스트의 건강 관련 모든 콘텐츠는 발표된 논문과 연구자료 및 학술지, 건강관련 서적 등을 바탕과 더불어 개인적인 학습을 통해 건강한 정보전달을 위해 제작 되었습니다. 그러나 사람마다 체질, 건강상태 등이 모두 다르므로 결과 또한 다를 수 있음을 알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