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24는 지금까지 분산된 정보와 복잡한 절차로 인해 구직자와 고용주 모두에게 불친절했던 온라인 고용서비스의 현실을 개선하고, 한번 가입으로 다양한 고용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맞춤형 일자리 추천부터 직업훈련 및 자격증 정보까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취업을 준비하거나 재취업을 고려하는 사람들의 많은 주목받고 있다.
- 어지럼증 원인과 증상 및 뇌질환과의 연관성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과 내각제 개헌 논의, 그 배후의 진실
- 가장 흔한 치매,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 등의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방법
- 미국 대통령 취임식 초청의 진실
- 전국민 압류방지통장 법안 통과 및 새로운 생계비계좌 도입
● 한번만 가입하면 편리하게 취업을 준비할 수 있는 고용24
다양한 이유로 일을 잠시 쉬다가 다시 취업을 준비하거나 은퇴 후 취업을 고려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소식이 있다. ‘고용24’에 한번만 가입하면 편리하게 취업을 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용24란, 모든 온라인 고용서비스를 한 곳에서 신청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통합포털로, 개인은 일자리 검색, 구직신청(이력서 등록), 실업급여 신청, 출산휴가급여 신청,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 등을, 기업은 구인신청, 인재 검색, 고용 장려금 신청, 근로자 훈련 신청, 이직확인서, 출산휴가확인서 작성 등을 할 수 있는 온라인 고용서비스다.
사실 한번 일을 그만두고 다시 일을 구하기는 쉽지 않다. 워크넷, 고용보험, 직업훈련포털, 취업이룸 등 다양한 온라인 고용서비스가 있지만 이에 대해 잘 모르고 있거나 정보가 서로 조금씩 다르기도 하고, 실제로 그동안 구직자들은 구직등록, 실업급여, 직업훈련 등을 이용하기 위해 매번 각각 다른 홈페이지에 등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온라인 고용서비스 이용 방법도 친절하지 못해 나중에 복잡한 서류작업을 모두 마치고 나서야 지원대상이 아니라는 힘 빠지는 소리를 듣는 경우도 많았다. 이는 구직자뿐만 아니라 고용주들도 어렵긴 마찬가지였는데, 업체 상황에 맞는 정부지원금을 찾는 방법이나 서류를 준비하는 일들도 너무나 복잡했으니 말이다.
● 분산된 온라인 고용서비스를 한 곳에서, 고용24
최근 프랑스나 독일 등 고용 선진국에서는 단순 고용정보를 넘어 빅데이터와 AI 통한 맞춤형 일자리 및 훈련 등 디지털 고용 서비스로 전환하는 추세로, 우리나라 또한 워크넷 등 정보망을 통합하고 AI 등 신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고용서비스의 필요성을 느껴 정부가 이러한 흐름에 맞춰 새로운 서비스를 시작한 것이으로 보인다.
그것은 바로 ‘고용24’로, 고용24는 모든 대한민국 국민이 PC 또는 모바일을 통해 이용할 수 있고, 워크넷, 고용보험, HRD-NET, 취업이룸, EPS, 청년일자리, 청년내일채움공제, 중소기업청년직무체험, 청년도전지원까지 그동안 9개로 분산된 온라인 고용서비스를 한 곳에서 신청·신고 및 조회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좋은 것은 정보 연계가 가능하다는 것인데, 정보 연계를 통해서 각종 증빙서류나 입력 항목 등을 축소해 사용 편의성이 매우 높아졌으며, 개인·기업의 특성에 따라 수혜 가능성이 높은 지원금을 안내해주거나 구직자 역량에 맞는 일자리·훈련·자격증 등을 추천해 주는 맞춤형 서비스도 진행한다.
또한 직원들의 단순 반복 업무를 자동화해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상담 시간도 대폭 늘린다고 하니 앞으로 고용 관련해서 더 높아진 수준의 서비스를 받게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청년 구직자는 일자리채움 청년지원금, 청년도전지원사업 등을 고용24에서 신청할 수 있고, 전국 대학일자리플러스 센터에서 고용24의 AI 기반 잡케어 프로그램을 통해 진로 탐색 및 설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 고용24 가입방법
가입방법도 매우 간단하다. 먼저 인터넷 검색창에 고용24를 검색해 홈페이지로 들어가 로그인을 한 후 상단에 있는 일자리 찾기, 구직신청, 실업급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현재 고용24는 시범 및 병행운영 중으로, 이 기간을 통해 사용자의 개선 의견을 반영하고, 하반기 중 고용 24로 완전히 통합할 예정이므로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고용 관련 업무가 필요한 사람들은 가입해 이용해보면 좋을 듯싶다.
참고로 현재 고용24는 시범운영 중이기 때문에 아직 스마트폰 앱은 나와 있지 않은 상태로, 주의할 점은 고용24와 유사한 앱들이 국민들을 속이고 있다고 하니 정부에서 스마트폰 앱 정식 발표 소식을 알리기 전까지는 온라인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